티스토리 뷰

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1.5%p로 거의 바닥권이라 볼 수 있는데요. 이런 이유로 예금이나 적금을 이용하는 분들은 크게 매력이 없는 것 같습니다. 반면 융자 상품을 이용하는 분들은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서로 상반된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 같네요. 






이 시간에 확인해 볼 정보는 이자계산하는 방법인데 예금 같은 경우 이자에 대한 세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을 확인하려면 전용 계산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또한 융자 상품을 이요할 때도 원금균등상환이나 원리금균등상환방식에 따라 이자가 달라짐을 알 수 있습니다. 




kb국민은행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금융계산기를 제공하고 있는데 적금 및 예금, 대출, 연금, 환율, 날짜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. 많이 이용하는 예금계산기 같은 경우 기간과 거치금액, 이자율을 입력하면 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고 융자금리와 상환방법을 입력하면 월 상환액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





그럼 이자계산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기 위해 국민은행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화면 상단에 보면 자산관리라는 메뉴가 있는데 이를 선택한 뒤 오른쪽 위에 있는 계산기 모양을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. 




아래와 같은 금융계산기 메뉴를 확인할 수 있는데 필요한 것을 선택하여 이동해 주시면 됩니다. 필자는 예를들어 예금 이자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자 이를 선택해 보겠습니다. 




일반적으로 예금 이자 같은 경우 세금에 따라 일반과세 및 세금우대, 비과세로 구분된다는 점을 참고하여 진행하면 되는데요. 거치금액 및 기간, 이자율 등의 정보를 입력한 뒤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 




예를들어 1천만원의 금액을 12개월로 2.3%의 금리로 예금한다고 가정하고 계산해 보니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 참고로 예금이자를 일반과세로 진행하면 이자금액의 15.4%가 원천징수 된다는 점을 참고해 주시면 됩니다.




이것으로 이자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는데 적금이나 융자 상품도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사오니 필요한 분은 선택하여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. 



댓글